국민연금 군복무 크레딧 제도를 총정리 및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 2008년 이후 입대한 사람이라면 연금가입기간 6개월 추가 인정! 군복무크레딧 자격조건부터 연금 수급에 미치는 영향까지 쉽고 자세히 정리해 봤어요. 혜택, 국민연금 가입기간 추가, 2026년 달라지는 점까지 모두 확인해보세요.
군복무도 국민연금 가입기간으로 인정된다고?
네, 맞습니다. 국민연금에는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을 한 사람에게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해주는 ‘크레딧 제도’가 있는데요. 그중 하나가 바로 군복무 크레딧이에요.
국민연금 군복무 크레딧 누가 받을 수 있나요?
기본 조건은 간단합니다.
- 2008년 1월 1일 이후에 입대하여 6개월 이상 군복무한 사람이라면 거의 대부분 해당됩니다.
대상자 조건 구체적으로 보면?
- 현역병
- 전환복무자
- 상근예비역
- 사회복무요원
- (과거) 공익근무요원, 국제협력요원 등
단, 군복무 기간이 공무원연금이나 군인연금 등 타 연금에 이미 포함된 경우는 중복 인정되지 않습니다.
군복무 크레딧, 돈 내야 되나요?
전혀 그렇지 않아요. 국민연금 군복무 크레딧으로 인정되는 6개월 가입기간은 ‘본인 부담금 0원’, 즉 추가로 보험료 납부 없이 혜택만 받는 구조입니다.
국민연금 군복무 크레딧 소득 인정 기준은?
연금 계산시 적용되는 ‘기준소득월액’은 A값의 절반으로 적용됩니다.
A값이란?
노령연금 수급 직전 3년간 국민 전체의 평균소득월액 평균입니다.
2025년 기준 A값 = 3,089,062원 → 그 절반은 약 1,544,531원
즉, 군복무로 인정되는 6개월 기간은 이 금액 기준으로 연금액에 반영됩니다.
언제 신청하나요?
별도로 신청할 필요는 없어요. 노령역늠을 청구할때, 국민연금공단에서 군복무 이력을 확인하고 자동 반영되는 식입니다.
<예시>
114개월만 납부한 경우 → 군복무 인정 시 120개월로 채워져 즉시 수급 가능
유족연금 지급률도 달라진다?
맞습니다. 군복무크레딧은 노령연금뿐만 아니라, 유족연금 지급률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 가입기간 234개월: 유족연금 50% 지급
- 군복무크레딧 6개월 추가 인정: 240개월 이상이 되어 유족연금 60% 지급
즉, 군복무 이력 덕분에 남겨질 가족의 연금 수급률도 올라가는 것입니다.
참고: 2026년부터는 ’12개월’로 확대돼요!
2026년 1월 1일 이후 입대하는 분들은 기존 6개월이 아닌 최대 12개월까지 가입기간 추가 인정 받을 수 있도록 제도가 확대됩니다. 앞으로 군 복무의 가치가 더욱 인정해주겠다는 것이죠.
꼭 기억하세요!
가입기간이 모자라 노령연금(국민연금)을 못받고 계셨다면, 군복무크레딧 자격이 있는지 꼭 확인해보세요. 군복무 이력만으로도 연금 수급 자격이 생기고, 유족연금 지급률까지 높아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