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기본소득 대상 지역과 지급시기, 시범사업 관련해 친절하게 안내하는 글입니다. 2026년부터 시행되는 농어촌기본소득제!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6개군 주민에게 매달 지원금 15만원 지급되며,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핵심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농어촌 기본소득제, 도대체 뭔가요?
2026년부터 정부는 인구감소가 심각한 농어촌 지역 6개 군에 거주하는 주민 24만명에게 매달 15만원씩 지급하는 농어촌 기본소득제를 시범 도입합니다.
지급액
매월 15만원
지급방식
지역화폐(계획 중)
별도 신청 필요 없음!
지급대상
선정된 인구감소 6개 군 주민
예산 규모
총 1703억원
이번 정책은 지방소멸 문제를 해결하고, 농촌의 고정지출 부담을 줄이는 목적을 가지고 있어요. 이는 이 대통령이 제안한 복지정책 중 하나로, 생계 안정에 초점을 맞춘 정책입니다.
농어촌 기본소득 대상 지역 어디인가요?
아직 6개 군의 정확한 명칭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인구감소지역’중에서도 소멸위기 대응 의지가 높은 곳을 우선적으로 고려할거라고 해요.
인구감소지역 선정 기준 예시
- 청년 인구 비율이 낮은 지역
- 고령화 속도가 빠른 지역
- 이전에 농어촌 관련 정책에서 우선 지원된 지역 등
참고로, 농식품부가 주관하며 국비 40%, 도비 30%, 군비 30%로 나눠 예산을 집행합니다.
농어촌 지원금 어떻게 지급되나요?
지급 방식은 지역화폐 형태로 논의중인데요. 이렇게 되면 단순한 소득보장을 넘어 지역 상권 호라성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전남 A군에 거주 중인 주민이 매달 15만원을 지역마트나 식당에서 사용할 수 있다면? 지역 내 소비가 늘어나고, 소상공인 매출도 같이 증가하게 됩니다.
농어촌 기본소득 실제 효과 – 과거 사례 참고
이미 일부 지자체에서는 농민 공익수당 형태로 유사한 정책을 도입해 본 적이 있습니다. 그 결과, 수당을 받은 농민 10명 중 7명이 실제로 영농 유지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죠.
가장 큰 장점은 불규칙한 농가 수입에 안정적인 월 수입을 보완해줄 수 있다는 점입니다.
- 건강보험료
- 공과금
- 연료비
- 교육비 등 고정지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어요.
농어촌 기본수당 아쉬운점
다만 이 정책이 지방소멸 해결의 ‘완전한 해법’은 아니라는 의견도 있어요.
- 15만원만으로 청년 유출을 막기는 어려워요
- 일자리, 주거, 교육까지 함께 채여야죠
농촌 인프라가 약한 상황에서 단순한 소득만으로는 지속적인 인구 유입 효과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앞으로 확장 가능성은?
이번 사업은 ‘시범’이기 때문에, 향후 결과에 따라 지원 대상 확대 혹은 전국 확대 여부가 결정될 예정입니다.
다만, 도비와 군비 부담이 있다는 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여력이 변수로 작용할수는 있을 것 같아요.
또한, 재난 및 기후변화 등 변수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공익직불제와 병행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습니다.